티스토리 뷰

반응형

. 곤충 단백질

 

<그림> 곤충 단백질 제품 생산 과정

 

곤충 소재 발굴과 함께 가공기술을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

미래 보편화를 위해 곤충 섭취에 대한 소비자 혐오증 극복이 가장 큰 과제

- 외형적 특성에서 오는 부정적 인식을 없애고 영양성분을 유지하는 방향의 가공기술 중심 연구가 진행되고 있음

현재 약 55% 이상의 곤충이 원형 그대로 판매되며 그 외 분말, 에너지바 등의 제품으로 소비

- 육류처럼 완성도가 높은 요리로서 제공되고 있는 사례는 많지 않음

- 소비자 인식 개선을 위한 꾸준한 노력과 함께 보다 다양한 품종의 확보 및 가공기술 개발이 필요

<> 곤충 단백질의 가치

구분 내용
사료 효율·
경제적 가치
곤충 사육은 좁은 공간에서도 가능하며,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육류·가금류 대비 12배 적은 사료와 23배 적은 물로도 사육이 가능
메뚜기·누에나방·거저리 유충 등은 전체 동물 사료의 65%를 차지하는 콩가루 사료를 10~50% 대체할 수 있다고 평가되며 사료로서 높은 잠재적 가치를 지님
가축의 분뇨를 이용한 사육도 가능하여 향후 축산폐기물을 처리하는 좋은 수단이 될 수 있음
곤충을 건조 후 분말화하여 가공할 경우 원물에 비하여 제품의 부피가 작아 운반이 간편할 뿐 아니라 제품 내 수분활성도가 낮아 장기간 보관 가능
영양적 가치 식용 곤충은 단백질, 칼슘, 무기질, 비타민, 아미노산, 오메가3, 식이섬유 등이 풍부해 영양학적으로 우수하다는 평가
환경적 가지 식용 곤충은 온실가스 배출량이 극히 적음
1식량 생산기, 소는 3의 온실가스를 배출하며 갈색 거저리는 7.6g을 배출

식용곤충 섭식을 돕기 위해 3가지 가공기술 연구개발 중

원재료 가공기술, 단백질 가공기술, 오일류 가공기술이 있으며, 원재료 가공기술을 활용한 제품 개발에서 단백질 가공기술, 오일류 가공기술﹡﹡을 활용한 식용곤충 제품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음

* 건조 또는 분말형태의 곤충 섭식을 위해 필요한 가공기술

** 식용곤충 주요 영양분이 단백질 및 유지를 추출하는 기술

곤충의 유익한 단백질, 유지만 가공·추출하여 식재료에 첨가하는 형태의 연구가 진행됨

파스타, 햄버거, 시리얼, 맥주, 스무디, 오일 등

우리나라는 식용곤충 종류 확대와 더불어 원재료 가공기술을 활용한 제품 출시가 이루어졌으나, 단백질 가공기술 오일류 가공기술을 활용한 신규 소재의 제품 개발은 아직 이루어지지 않음

 

<> 국내외 곤충 단백질 시장 현황

구분 내용
글로벌 곤충 단백질 시장 곤충에 대해 거부감을 가지는 소비자가 우세하나, 건강·환경에 대한 관심 증대로 식용곤충 관련 소비자 인식이 천천히 변화하면서 글로벌 식용곤충 시장이 확대
- 시장조가기관 Global Market Insights에 따르면, 글로벌 식용곤충 시장은 `184700만 달러 수준에서 `23118,200만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
식용곤충 관련 제품군 및 카페고리 또한 다양화 되고 있음
- 기존 환, 분말 형태에서 시리얼이나 파스타면, 스무디, 에너지바, 샐러드 토핑 등으로 다양하게 개발되는 추세
국내
곤충 단백질 사업 전개 현황
한미양행 `15년부터 식용곤충 연구를 진행해 온 가운데 관련특허를 다수 보유, 사내에 별도 곤충사업팀을 두고 기호성 강조 제품을 개발하며 중장기적 관점에서 사업 전개 중
- 갈색거저리 유충 및 흰점박이 꽃무지 유충을 부원료로 한 건강기능식품을 개발하고 홈쇼핑 등으로 판매하며 소비자 접근성 제고에 힘쓰고 있음
롯데제과 `223월 캐나다 식용곤충 제조 기업 아스파이어푸드그룹에 약 100억 원을 투자. 향후 아스파이어푸드그룹과의 기술 제휴, 상품 개발 등 협업 기회를 모색 할 계획
- 아스파이어푸드그룹은 귀뚜라미 사육 관련 독자적 노하우, 자동화 생산시스템 보유
롯데중앙
연구소
`2111, 프랑스 기반 식용곤충 스타트업 ‘Ynsect’LOI를 체결했으며, 식용곤충 기술·정보 공유 및 곤충 단백질 제품 개발 공동 연구를 수행 계획
- ‘Ynsect’는 식용곤충 밀웜의 자동화 대량 사육 시설물 보유, 식용곤충을 동물 사료·수산양식·식물성 비료·식품 단백질원으로 활용하기 위한 제품 개발·생산에 주력
퓨처푸드랩 국내 스타트업 퓨처푸드랩은 갈색거저리 유충과 흰점박이 꽃무지 유충(굼벵이) 등을 가공·제조한 곤충 단백질로 환자용 파우더, 에너지바, 쿠키, 쉐이크 등을 생산
- 식용곤충 대중성을 높이기 위해 가급적 곤충의 형태는 없애고 풍미와 영양소를
살려 개발하는 데 주력
국내 식용곤충 지정 현황 국내에서는 식용곤충으로 10종을 지정
풀무치, 메뚜기, 백강장, 식용누에 유충·번데기, 갈색거저리 유충, 쌍별귀뚜라미,
장수풍뎅이 유충, 아메리카왕거저리 유충, 흰점박이 꽃무지 유충

 

. 공기육(에어미트)

미생물에 공기(이산화탄소와 수소, 산소 등)를 먹여 단백질 생산

핀란드의 6년차 식품기술 신생기업 솔라푸드에서 개발한 솔레인이란 이름의 공기육

- `229, 이른바 공기단백질’(또는 공기육)이 싱가포르 식품당국으로부터 세계 처음으로 시판 승인을 받음

- 싱가포르는 현재 대체육의 세가지 축인 식물육, 발효육, 배양육의 시판을 모두 허용한 유일한 국가

- 공기단백질이 이 대열에 합류함으로써 공기단백질은 4의 대체육으로 인정받을 수 있게 됨

공기와 기타 영양성분을 미생물에 주입하면 단백질과 탄수화물, 지방을 토해내는 방식

- 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을 건조해 분말로 만든 것이 공기단백질. ‘솔레인의 단백질 함량은 65~70%이며 필수 아미노산이 모두 들어 있다고 회사는 주장. 성분으로만 보면 말린 콩과 유사

- 솔라푸드는 수년간의 노력 끝에 이 미생물을 찾아냈다고 밝혔으나 구체적으로 어떤 미생물인지는 밝히지 않고 있음. 수소는 물을 전기분해해 공급하고, 이산화탄소는 공기 중에서 포집

- 솔라푸드에 따르면 1의 소고기를 생산하는 데는 15천리터의 물이, 1의 대두를 생산하는 데는 2500리터의 물이 필요하지만, 솔레인 단백질가루 1을 생산하는 데는 10리터의 물만 필요

2024년 제품을 출시할 계획

- 솔라푸드는 2024년 가동을 목표로 현재 핀란드 남부인 반타에 첫 양산 공장을 짓는 중. 솔라푸드는 올해 초 유럽연합과 영국에도 식품 승인을 신청. 미국에도 곧 안전성 평가를 신청할 계획

 

기타 공기육 연구개발

- 1967NASA'이산화 탄소를 먹는 미생물' 연구와 , 1980'메테인을 먹는 미생물' 연구

- 두 연구는 한참 묻혀 있다가 2010년대에 부활한 것이다. 기술 특성 상 탄소 포집과 연계하자는 논의가 나온다. 즉 기존 화력 발전소들이 고기 생산 공장이 될 수도 있다는 것

- `16년 미국 컬리스타가 메테인으로 단백질을 만드는 미생물 기술을 상업

- `17년 인도 스트링바이오는 축사에서 소의 트름-방귀로부터 메테인을 포집해 단백질을 생산

- `19년 미국 에어프로틴이 공기단백질로 닭가슴살을 모사한 제품을 선보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