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글로벌 배양육 스타트업 □ 이들 기업은 국내보다 앞선 2018년 즈음부터 배양육 기술 연구에 선제적으로 참여 ○ 글로벌 배양육 스타트업은 미국·이스라엘 등지에 포진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 ○ 다수 투자자로부터 유치한 투자금을 바탕으로 맛·질감 구현 기술을 고도화 하고 있으며 대량생산 시설을 구축하는 등 배양육 상용화 경쟁 중 글로벌 배양육 스타트업 기업명 개발 분야 누적 투자액 (Mil USD) 라운드 (기준 시점) 내용 Eat Just (미국) 닭고기 839.5 Series F (`21) • `20년 11월, 싱가포트 식품청(SFA)으로부터 배양 닭고기 판매·생산 승인 획득 • 세포 밀도를 5배 이상 증가시키는 기술과 세포 영양소 가격 인하로 생산비용을 절감 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 수행 중 ..
3) 지지체 □ 3차원의 공간에서 정육 형태 배양육 생산 시 세포가 접착하여 자랄 수 있는 지지체 필요 ○ 플라스크 안에서 세포는 접착해서 성장하기 때문에 2D의 생산시스템은 매우 비효율적 - 실험실에서 하듯 세포배양접시에서 세포를 키워서는 생산단가를 맞출 수 없음. - 일반적으로 부착세포를 부유배양으로 키우면 세포 성장이 느리고, 근육으로 분화능이 급격하게 떨어지며, 배양기내의 충격에도 아주 취약 ○ 3D의 공간에서 세포를 배양하는 방법은 2D 배양에 비해 세포의 생산량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음 - 근육세포를 이용한 3D 배양 시스템의 배양조건(세포농도, 세포성장 특성, 지지체의 재질 및 투여량, 교반 등)은 아직 연구 중이며 이것을 배양육 공장에 적용할 설계 및 시스템화가 필요 ○ 세포의 3D 생산을..